Jan van Eyck, <The Arnolfini Marriage>, 1434
미술사학자이자 도상해석학을 제창한 파노프스키(Erwin Panofsky)는 화가 얀 반 에이크(Jan van Eyck)의 <아르놀피니의 결혼식>에 등장하는 평범한 사물들에 상징적인 의미가 녹아 있다고 주장했다.
예를 들어 아르놀피니의 머리 위로 켜 있는 하나의 초는 신의 통찰력과 지혜 혹은 '신 안에서의 하나됨'을, 바닥에 벗어 놓은 신발은 결혼식이 수행되는 공간의 신성함을 상징한다고 말이다.
한편 20세기 후반의 미술사학자인 장 밥티스트 브도(Jan Baptist Bedaux)는 이러한 파노프스키의 해석을 비판했다. 그는 실내에 켜져 있는 초가 북유럽에서는 일반적인 것이었으며, 화면 아래에 위치한 신발은 예물을 교환할 때 신랑이 신부에게 선물하던 물품이었다고 주장했다.
또한 브도는 작품 속 ‘완전함’, ‘결혼’을 상징하는 십계명이 조각된 거울에 주목하였고, 이를 근거로 당시 결혼은 ‘종교적인 성사’의 성격을 띤다는 주장을 펼쳤다. 이는 당대 지배적이었던 그리스도 교리를 기반으로 한 해석이었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에게 설득력을 얻을 수 있었고, 결국 브도의 해석이 더 많은 지지를 얻게 되었다.
위 사례에서 미술사학자 파노프스키와 브도는 같은 그림을 해석했음에도 불구하고 각각 다른 도상에 집중해 서로 다른 의미를 도출했다. 이처럼 사회문화를 이해하는 깊이에 따라 같은 작품일지라도 완전히 다른 해석이 가능하기 때문에 당시의 지배적 가치관을 기반으로 한 해석이 더 큰 신뢰를 얻을 수 있다.
'문화 > 공연·전시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화's 픽업] 제주의 자청비 설화, 소리꾼 신정혜의 창작판소리극 '신 자청비가'로 다시 태어나다 (0) | 2018.04.10 |
---|---|
'마르크 샤갈 특별전' 2차 티켓 50% 할인가로 오픈 (0) | 2018.04.10 |
세움아트스페이스, 오세린 개인전 '반짝임을 나열하는 방식' 개최 (0) | 2018.04.09 |
아트비트갤러리, 조태광 개인전 'Color of the wind' 개최 (0) | 2018.04.09 |
17년 전 그날에 딱 맞춰 돌아온 연극 '백설공주를 사랑한 난장이' (0) | 2018.04.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