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화/라이프

매년 새해 먹는 떡국, 지역마다 어떻게 다를까?

ⓒ flickr

[문화뉴스 MHN 김대권 기자] 매년 새해가 되면, 풍요와 장수를 비는 의미에서 떡국을 꼭 먹곤 한다. 떡국을 먹어야 나이를 한 살 더 먹는다는 '첨세병'의 의미를 가지고 있는 떡국은 다 비슷해보이지만 지역마다 조금씩 차이를 보인다.

- 중부 지방

먼저 개성을 비롯한 경기도, 중부 지방은 '조랭이 떡국'을 먹는다.

조롱박 모양을 띠는 '조랭이 떡국'은 보통 떡국에 비해 쫀득한 것이 특징이다. 가래떡을 어슷썰어 넣는 일반 떡국과 다르게 가래떡을 가늘게 늘여 썰어 가운데를 살짝 굴려 조랭이 떡 모양을 만든다.

조랭이 떡이 누에 고치를 닮았다고 해서 길운을 상징한다는 속설과 아이들이 설빔에 조롱박을 달아 액막이를 했다 해서 액막이를 의미한다는 속설도 있다.

ⓒ wikipedia commons

- 강원도 지방

강원도 지방은 '만두 떡국'을 먹는다.

사골 육수에 떡과 만두를 넣어 만두 떡국을 만드는데, 만두는 밀가루 피에 고기, 야채로 만든 속을 넣어 만드는 것으로 복을 의미한다. 평안도, 황해도, 강원도 일부는 떡을 넣지 않고 만두만 넣어 만드는 만둣국을 먹기도 하고, 강릉 지역은 특산물인 초당 두부를 넣어 만들어 먹기도 한다.

- 전라도 지방

전라도 지방은 예전에는 '꿩 떡국', '두부 떡국'을 먹었다고 한다.

지금은 꿩 대신 닭을 이용해 '닭장 떡국'을 만드는데, 닭으로 진한 육수를 만들어 간장에 조린 닭고기를 고명으로 얹어 만든다. 원래는 꿩이 쓰였으나 꿩을 구하기 힘들 때 닭을 대신 사용하게 되면서 먹게 된 떡국이며, '꿩 대신 닭'이라는 속담이 생긴 배경이기도 하다.

또한 콩 재배가 많이 이루어지는 전라도답게 자연스럽게 두부가 떡국의 재료로 들어가게 되었는데, 그래서 닭으로 육수를 만들어 두부와 떡을 썰어 넣은 '두부 떡국'을 먹게 된 것이다.

ⓒ flickr

- 충청도 지방

충청도는 '생떡국', '구기자 떡국', '닭생떡국'을 먹곤 한다.

멥쌀가루를 끓는 물로 반죽해 적당한 크기로 썰거나 빚어 장국에 넣어 먹는 '생떡국'은 수제비와 비슷한 맛이 난다. 미역이나 다슬기를 넣어 만들기도 한다.

또한 구기자가 많이 나는 충정도이기에 구기자 잎과 열매로 다양한 색의 '구기자 떡국'을 만들어 먹기도 하며, 닭 육수에 익반죽한 반죽으로 만든 가래떡을 썰어 넣어 닭고기 고명을 얹어 먹는 '닭생떡국'을 먹기도 한다.

- 경상도 지방

경상도 지방은 '굴떡국', '태양 떡국', '굽은 떡국'을 먹곤 한다.

멸치장국 국물에 굴, 두부, 떡 등을 넣고 끓이는 '굴떡국'은 육수로 만든 떡국보다 담백한 맛을 자랑하며 간장 양념장을 곁들여 먹기도 한다.

또한 떡을 어슷썰기하지 않고 똑바로 잘라 동그란 모양을 만는 '태양 떡국'을 끓여 먹는데, 담백하고 깔끔한 맛을 느낄 수 있으며 매생이나 굴을 넣기도 한다. 식용유에 구운 떡을 넣고 끓여 먹는 ‘굽은 떡국'도 특징적인 떡국 중 하나다.

- 제주도 지방

마지막으로, 제주도는 '몸떡국'이 특징적이다.

'몸떡국'은 제주 연안에서 나는 해조류인 '모자반'으로 만들어 먹는 떡국인데, 돼지 육수에 모자반, 떡 등을 넣어 만드는 떡국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