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화/책

실패를 통해 배우는 사회는 어떤 장점이 있는가? '실패의 사회학'






현대 미국을 상징하는 대표적인 산업은 영화와 IT이다. 다른 분야도 비슷하겠지만, 이 두 분야가 성공적인 이유가 무엇일까?

그 이유는 다양한 실패를 경험하고 실패에 관대하기 때문이 아닐까 생각 한다. 새로운 사업, 신선한 사업은 많은 실패를 거듭한 후에야 탄생한다.

그럼에도 대한민국은 현재 실패를 두려워하는 환경을 조성하고 있지는 않은가? 우리나라의 환경은 사업을 하다가 단 한 번이라도 실패하면 사업의 실패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개인의 인생 자체가 흔들리는 시스템을 가지고 있다. 반면 미국은 사업가의 파산절차에 대해 관대하며, 파산의 경험으로 새로운 시도를 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이 두 시스템에서 드러나는 결과는 매우 다르다.

이런 문제를 정확하게 파고든 '실패의 사회학'이 처음북스에서 출간되었다. 이를 통해 우리는 실패에 관대한 사회에 어떠한 이점들이 있는지 꼭 알아볼 필요가 있다.

유치원생이 대학원생을 이긴 이유

노키아의 최고경영자인 피터 스킬먼은 경영 대학원 학생부터 유치원생까지 다양한 종류의 사람들에게 문제를 냈다. 스무 개의 스파게티면과 마시멜로, 스카치테이프로 높은 구조물을 만들라는 것이었다. 도전자들은 건축한 지식까지 동원하며 최고의 구조물을 만들기 위해 노력했다. 이 도전의 승자는 누구도 예상하지 못한 유치원생들이었다. 유치원생들이 이 도전에서 가장 높은 구조물을 만들 수 있던 이유는 한 가지였다. 실패를 계속 해도 '스파게티를 더 달라고 요청'했기 때문이다.

우리 사회의 일부는 실패를 극단적으로 싫어하며 어렸을 때부터 실패하지 않도록 많은 노력을 기울인다. 최고의 교육과 환경 덕분에 실패하지 않는 삶을 아이에게 주고 있다. 실패해보지 않은 아이는 성장하면서 큰 실패를 맞았을 때 다시 일어날 수 있는 것이 힘들다.

9월 11일 비행기가 세계 무역 센터에 부딪혔을 때 화제가 발생했다. 사무실에 많은 사람들이 있었음에도 그 누구도 건물 밖으로 나가려 하지 않았다. 마치 아무 일도 없었다는 듯 행동했다.

돌이킬 수 없는 실패의 과정도 이와 마찬가지다. 거대 기업인 GM도 제3자는 누구나 망해가고 있다는 것을 알았지만 경영진은 실적이 나쁘더라도 버티면 정상화가 될 것이라고 생각했다. 무엇인가를 희생해서라도 과감한 정책을 취해야 한다고 생각한 사람은 없었다. 혹은 누군가 그렇게 생각했다고 하더라도 행동으로 옮긴 사람은 없었다.

실패를 어떻게 받아들이고 어떠한 실패를 용납할 수 있는가에 따라 결과는 아주 다르게 나타난다. '실패의 사회학'에서는 예측할 수 없는 실패는 용납하고, 예측할 수 있는 실패는 방지해야 한다고 말한다.

단순히 감정에 호소하여 무엇이든 도전하라고 권유하는 책이 아니라, 냉정하게 실패를 바라보게 하고 그 과정에서 앞으로 나아갈 힘을, 스스로 혹은 사회적으로 찾아야 한다고 말한다. 실패는 순수하게 개인의 것이 아니라 사회 모두의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