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뉴스] 홍대 걷고 싶은 거리는 더 이상 단순한 거리가 아니다. 걷고 싶은 거리에는 다양한 공연이 열리며 많은 사람들이 직접 찾아가서 보기도 한다. 풍성한 공연이 가득하다는 좋은 점도 있지만 급격하게 증가한 버스커의 부작용 또한 무시할 수 없다. 이에 관하여 홍대 걷고 싶은 거리의 대세 밴드 '분리수거'가 버스커들이 지켜야 하는 기본 매너 3가지를 소개한다. 이하 분리수거 김석현(김), 염만제 (염), 최현석(최), 박종민(박)
1. 알맞은 음향 사용
김: 길거리 공연을 하는데 있어 음향과 장비가 크게 중요하지 않다. 기타 하나로도 충분히 멋진 공연을 하는 분들이 많다. 와트 수가 높다 하여도 잘하는 것이 아니다. 분리수거도 지금의 자리가 있기까지 많은 시행착오가 있었으며 우리도 옛날엔 작은 장비로 시작했다. 그러다 공연을 보는 관객들이 소리가 안 들린다 하여 바꾼 것이다.
2. 다른 버스커에 대한 배려와 관객들에 대한 기본적인 준비
김: 버스커 공연에서 가장 중요한 건 시간을 지켜줘야 한다. 한 장소에서 오래 공연하면 다른 버스커 팀들이 공연을 할 수 없다. 걷고 싶은 거리는 누구나 공연할 수 있는 거리로 시작하였지만 이제는 아무나 할 수 없는 거리가 되었다. 사람들도 그냥 거리라는 인식보단 재미있는 공연이 많은 거리라 생각하기에 그냥 와서 연습하는 팀들이 많다. 완성되지 않은 무대로 말이다. 그 무대에 서기 위해 많은 버스커인들이 노력하고 연습해서 오는데, 거기서 악보 보고 가사 못 외워서 핸드폰으로 가사 보는 등 준비되지 않은 공연을 한다는 건 나머지 공연팀과 관객들에 대한 실례이다. 그 순간, 그 자리는 누군가가 쓰고 싶어도 못 쓰는 자리이기에 프라이드를 가지고 공연을 해야 한다.
박: 걷고 싶은 거리의 무대는 쉬운 게 아니다. 나는 이 무대가 다른 콘서트 홀 처럼 생각하는 무대이기에 무대에 올라가는 사람으로서 기본적인 예의를 가지고 올라가야 한다 생각한다. 나이와 실력에 관계없이 무대에 올라가는 사람으로서 기본적인 소양을 갖추고 올라가야 관객에 대한 태도로 맞는 것이다.
3. 진정성 있는 음악
최: 예전에 집에 가는 길에 한 버스커를 보았다. 20명이 채 되지 않는 관객 앞에서 노래를 부르고 있었다. 그 버스커가 '오늘 처음 나왔는데 정말 잘해보고 싶습니다. 정말 많이 준비했습니다'라고 말하며 기타를 치는데 손발을 달달 떨며 본인이 연습해온 곡을 처음부터 끝까지 실수 없이 마무리했다. 그리고 노래가 끝나자 관객들이 박수를 쳐줬다. 그렇게 잘하지는 못하지만 하고 싶어서 열심히 준비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그저 무대를 가볍게 생각하고 준비 없이 나오는 건 관객을 모독하는 행동이라 생각한다
문화뉴스 김윤지 기자
'문화 > 공연·전시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밴드음악 축제 춘추감성에서 늦가을을 즐겨보자 (0) | 2014.11.07 |
---|---|
[문화 리뷰] 자신을 다시 보게 만드는 연극 '왜 나는 조그마한 일에만 분개하는가' (0) | 2014.11.06 |
신인 힙합 뮤지션을 위한 슈퍼 루키 챌린지 시즌 4 개최 (0) | 2014.11.05 |
대학로를 뜨겁게 달군 연극, 너는 똥을 누고 나는 물고기를 누었다. (0) | 2014.11.03 |
문화가 있는 날엔 하우스 콘서트 (0) | 2014.10.29 |